우리나라의 장기기증자 수가 수년 새 급감하면서 장기이식을 받지 못해 사망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나눔으로서의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졌다. 

지난 3일 국회 보건복지위는 ‘제4차 생명잇기 국회정책 토론회’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장기기증자 수는 지난 2000년 52명으로 시작해 2010년 268명으로 급증한 이후 2016년 573명까지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지난 2017년 515명으로 감소한 데 이어 2018년 449명으로 급격히 하락했다. 

토론에 참석한 보건복지위 박인숙 간사는 본인이 장기기증에 동의해도 사후 유가족이 동의하지 않으면 장기기증을 할 수 없는 현 상황이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장기기증 현실은 그리 밝지 못하다.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장기이식을 기다리가 사망한 환자는 2016년 1321명에서 2017년 1610명, 작년에는 1910명으로 늘었다. 

이에 대해 박 간사는 “뇌사기증자의 경우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기증건수는 대기자들의 장기 매매, 불법 해외 원정 수술 등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우려가 있는 상황이다”라고 지적했다. 

장기기증의 인식변화에 대한 목소리도 높았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이정림 본부장은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좋지 않다"고 지적하고, “장기기증은 생명 나눔이다. 좋은 일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기이식코디네이터협회 김형숙 회장은 “전상 상 장기·조직기증 희망자에 대한 정보를 빨리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며 “장기·조직기증 희망자도 등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는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생명잇기, 대한이식학회, 한국장기기증네트워크가 공동으로 주관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