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이 단절되고 다른 사람과의 대화가 줄어든 ‘사회적 노쇠’ 노인은 사회생활을 잘 유지하는 노인에 비해 우울감 발생 위험이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이은주 · 장일영 교수와 소화기내과 박형철 전임의는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은주 교수팀은 2018년 한해 동안 평창군 보건의료원과 함께 평창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408명(남자 172명, 여자 236명, 평균나이 74.9세)의 건강상태를 관찰하며 사회적 노쇠의 유병률과 신체적 노쇠, 노인증후군 및 장애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조사 결과 사회적 노쇠 진단 방법을 통해 408명 중 노쇠는 84명(20.5%), 노쇠 전 단계는 121명(29.7%), 정상은 203명(49.8%)으로 나타났다. 노쇠란 일반적인 노화 과정보다 급격히 신체기능이 허약해져 장애나 입원의 가능성이 높아진 상태를 말한다. 

사회적 노쇠로 나타난 84명의 노인 중에는 여성이 59명(70.2%), 남성이 25명(29.8%)으로 여성이 2배 이상 많았다. 남성보다 바깥활동이 적고, 혼자 사는 사람이 더 많은 것이 여성에서 사회적 노쇠가 더 많은 주요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노쇠인 노인들의 우울감 발생 위험이 4배로 나타났고, 옷 갈아입기, 세수나 양치질하기, 식사 챙겨먹기 등의 일상생활도 혼자하기 어려운 장애 발생 위험도는 2.5배로 나타났다. 그 밖에 인지기능장애와 근감소증, 영양부족, 낙상 위험도도 의미있게 높아져 사회적 노쇠가 노인증후군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일영 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 교수는 “신체적으로 노쇠하지 않더라도 사회적 노쇠가 있다면 노인증후군의 발생 위험이 높다는 것을 인지해 신체적인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이웃들과 자주 대화하고 소통하면서 활발한 사회활동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공중보건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국제 환경연구·공중보건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