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청년실업자는 OECD 평균 13.9% 감소한 반면 한국은 2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실업률 역시 1.3%p 감소하는 동안 한국은 2.4%p 늘어났다. 

이로 인해 다른 고용지표는 10년 전 수준과 큰 차이가 없었지만, 실업률 순위는 2008년 11위에서 2018년 22위로 11계단이나 대폭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9일 한국경제연구원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OECD 국가들의 청년 고용지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청년인구는 2008년 986.8만 명에서 2018년 914.9만 명으로 10년간 7.3%(71.9만명) 감소해 OECD 평균 인구증가율(-1.6%)보다 낮았다.

10년간 청년 인구증가가 가장 많은 나라는 미국(265.4만명), 가장 많이 감소한 나라는 일본(-251.0만명)이었다. 우리나라 청년경제활동인구는 2008년 445.6만명에서 2018년 431.2만명으로 10년간 3.2% 감소(-14.4만명)했지만, OECD내 순위는 10위에서 9위로 올랐다. 

우리나라 청년실업자는 2008년 31.8만명에서 2018년 40.8만명으로 10년간 28.3%(9.0만명) 증가해, OECD내 실업자 순위는 24위에서 26위로 떨어졌다. 

우리나라는 청년인구가 7.3% 감소하는 동안 청년실업자는 28.3% 증가했다. 동기간 OECD 국가 청년인구가 1.6% 감소하는 동안 청년실업자가 13.9%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우리나라와 같이 청년인구가 감소하는데 오히려 청년실업자가 증가한 국가는 OECD 36개국 중에서 6개국(한국, 그리스, 이태리, 프랑스, 핀란드, 터키) 뿐이며, 이중에서도 한국은 실업자 증가가 가장 많고, 실업자 증가율도 재정위기를 겪은 이태리, 그리스에 이어 세 번째였다. 

실업자 증가는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져 2018년 우리나라 청년실업률은 9.5%로 2008년(7.1%) 대비 2.4%p 올랐고, OECD내 실업률 순위도 11위에서 22위로 11계단이나 하락했다. 실업률이 2%p이상 오른 나라는 재정위기를 겪은 나라를 제외하면 한국 포함 3개국(덴마크 2.7%p, 프랑스 2.6%p) 뿐이다.

반면, OECD 평균 청년실업률은 10.4%에서 9.1%로 1.3%p 떨어져, 10년전 OECD 평균실업률보다 3.3%p 낮았던 우리나라가 지금은 0.4%p 높아졌다. 선진국 중 독일, 미국, 일본의 청년실업률은 동 기간 각각 4.1%p, 3.5%p, 2.8%p 낮아진 점이 우리와 대비된다. 

우리나라 청년 경제활동참가율은 2008년 45.2%에서 2018년 47.1%로 10년간 1.9%p 증가해, OECD내 순위는 35위에서 34위로 1단계 올랐지만 여전히 최하위 수준이다. 

우리나라 청년고용률은 2008년 41.9%에서 2018년 42.7%로 10년간 0.8%p 증가했지만, OECD내 순위는 31위에서 32위로 1단계 떨어졌다. 2018년 우리나라 청년고용률은 OECD 평균 청년고용률(54.0%)보다 10%p 이상 차이가 나며, 고용률이 제일 높은 국가(아이슬란드, 78.7%)와는 36%p의 격차를 보인다.

고용률이 한국보다 낮은 나라는 최근 국가비상사태를 겪고 있는 국가(칠레)와 심각한 재정위기를 겪은 PIGS 중 3개국(스페인, 이태리, 그리스) 등 4개국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15~64세 전체 고용률(66.6%, OECD 28위)과 비교해도 청년고용률은 열악한 상황이다.

OECD는 최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이 낮은 데 대해 높은 대학진학률(2017년 69%)을 보이면서도 일과 학업을 병행하는 비율은 낮고(한국 1/8 vs OECD 1/4) 고학력 청년니트(NEET: Not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비중이 높은 것(한국 45% vs OECD 18%)이 원인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한경연 추광호 일자리전략실장은 “우리나라 고용률은 학업, 군대 등의 이유로 낮지만, 10년 전 OECD 평균보다 훨씬 낮았던 실업률이 청년인구가 감소하는 중에도 OECD 평균보다 높아졌다”고 지적하고, “기업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날 수 있도록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동시에, 고등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 직업 진로지도 강화, 고용정보?직업훈련서비스 제공 등을 통해 미스매치를 해소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