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수술 시 전신마취를 한 환자보다 부위마취한 경우 사망률과 부작용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제대학교 서울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방시라·안은진 교수팀이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해 2009년부터 2015년까지 고관절 골절로 수술받은 65세 이상 환자 96,289명 중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 25,593명과 부위마취 수술 환자 70,696명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부위마취 환자 사망률이 2.24%로 전신마취 그룹보다 사망률 2.55% 보다 낮았다.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율도 부위마취 그룹이 22.8%로 전신마취 그룹 31.4% 보다 8.6% 포인트 더 낮았다. 인공호흡기 착용률도 부위마취 환자에서 1.7%로 전신마취 환자그룹 4.7% 보다 3%포인트 낮았다.

부작용이나 합병증 발생도 부위 마취를 받은 환자군에서 더 낮았다.  노인 수술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섬망 발생률 또한 부위마취 그룹이 20.2%로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 22.7%보다 낮았다. 뇌출혈과 폐색전증도 부위마취를 받은 환자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고관절 골절로 수술한 환자의 전체 평균 나이는 79세. 사망률은 2.45%. 여성이 74.3%(71,541명)로 남성 25.7%(24,748명)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수술은 대학병원급에서 72.5%(69,814명), 종합병원 26.2%(25,320명), 의원급 1.2%(1,155명)에서 수술이 진행됐다.

안은진 교수는 “명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마취 방법의 특성이 달라 사망률과 부작용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며 “하지만 혈액 저류, 혈액 응고 장애, 심장 판막 질환, 뇌 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하반신 마취가 전신마취보다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 따라 적절한 마취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의학저널(BMJ)이 발간하는 SCI급 ‘BMJ Open’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