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한 연구팀은 생체 간 이식 수술 후 간 기증자와 일반 표준인구의 생존율을 비교해 간 이식 수술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우리나라에서 생체간이식은 1년에 인구 100만 명당 20명 정도로 이뤄진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이지만, 간 기증자들의 수술 후 장기생존율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세계적으로도 제대로 보고된 바가 없었다.  

서울대병원 간 이식팀(서경석, 이광웅, 이남준, 최영록, 홍석균, 이정무 교수)은 서울의대 예방의학교실(신애선 교수, 최선호 전문의)과 질병관리본부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 데이터를 활용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간 기증을 한 10,116명을 추적·관찰한 연구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전체 간 기증자 10,116명 중 사망자는 총 53명(0.52%)이다. 이를 사망원인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자살(19명), 암(9명), 교통사고(7명), 간 질환(5명), 뇌혈관 질환(3명), 심장 질환(1명), 기타(9명) 순으로 나타났다. 

간 기증 후 간 질환으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을 확률보다 적었다. 다만, 19명의 기증자가 자살로 사망한 점은,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에 대한 꾸준한 관찰·관리가 필요하고 심리적인 지원을 제공해야함을 시사한다.

추가로 연구팀은 ‘간 기증자’ 그룹과 ‘표준인구’ 그룹의 장기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간 기증자 그룹의 수술 후 10년 누적 사망률은 0.5%로 표준인구 그룹의 0.9%보다 오히려 낮았다. 생체간이식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가 안전함을 입증한 것이다.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이남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생체간이식이 11,000건 넘게 진행됐지만 아직까지 간 기증자의 장기 성적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없었다”며 “수술 후에도 간 기증자를 장기적으로 관찰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정신건강 관리도 지속적으로 이뤄져야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