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사장애(섭식장애) 환자가 4년 새 3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장애(Eating disorders)에는 신경성 식욕부진(F50.0), 신경성 폭식증(F50.2) 등이 포함된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식사장애(섭식장애)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4만 59명으로, 2015년 6,873명에 비해 2019년 8,846명으로 28.7%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7,561명(18.9%), 여성은 3만2,498명(81.1%)으로 여성 환자가 4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비는 더욱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2015년 23억 8,726만원에서 2019년 41억 5,509만원으로 약 74% 급증했다.

지난 5년간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성별·연령 집단은 20대 여성(19.6%, 7,861명), 80세 이상 여성(13.3%, 5,316명), 30대 여성(12.6%, 5,046명), 40대 여성(9%, 3,612명), 70대 여성(8.2%, 3,299명), 10대 여성(6.9%, 2,759명), 50대 여성(5.8%, 2,308명)순 이었다. 

특히 2019년 기준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80세 이상 115.8명, 70대 이상 34.5명으로 노년층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20대 26.4명, 30대 15.2명, 10대 14.2명으로 청소년·청년층이 높고, 60대 10.5명, 40대 9명, 50대 6.9명으로 중·장년층이 비교적 낮았다. 

남인순 의원은 “식사(섭식)장애는 생물학적, 사회적, 심리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데, 날씬함이 아름다움의 기준으로 강하게 작용하고, 외모를 중시하고 차별하는 사회구조적 문제도 중요한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식사장애 환자 중 70대 이상 노년층이 상당히 많은데, 신체적 약화와 더불어 우울증, 외로움과 고립감 등 심리적인 기능 저하로 오는 섭식장애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으므로 초고령화 사회를 목전에 둔 것을 감안해 노인들의 식사장애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