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인구는 1993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1인 가구는 40년 만에 16배 증가하는 등 계속 증가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서울거주 1인 가구의 특징을 분석해 「서울시민 온라인 조사」를 25일 발표했다.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서울의 1인 가구는 1980년 8.2만 가구에서 2019년 약 130만 가구로 40년 만에 약 16배 증가해 현재 전체 380만 가구 중  33.9%가 1인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에 따르면 2038년 까지 1인 가구가 증가하며, 전체가구 대비 1인 가구 비중은 2047년까지 증가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고령화에 따른 독거 노인가구의 증가와 만혼·비혼 등 중장년층 1인 가구의 증가추세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9년 1인 가구의 거처는 단독주택(40.4%), 아파트(22.1%), 다세대 주택(17.2%)순으로 거쳐 유형이 다양해졌으며 오피스텔 등 주택이외 거처(오피스텔, 숙박업소객실, 고시원 등) 비율도 15.4%로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와 다인 가구주의 경제활동율을 비교하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용직 비율은 40대 이후부터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주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또한 다인 가구주보다 1인 가구에서 40대 이후부터 덜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사회관계성은 다인 가구주보다 30대 이후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아플 때 보살펴 줄 수 있는 사람”은 생애 전반에, “금전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과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이야기 할 사람”은 20대 후반부터 더 낮게 나타나며, 타인과의 관계가 적은 “문화활동 경험”은 30대 후반, “규칙적 운동”은 50대 부터 낮게 나타났다.

한편 서울시 1인 가구 500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40.9%는 서울시가 1인가구가 살아가기에 적합한 사회라고 생각하며, 62.8%가 계속해서 1인 가구로 남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로 가장 만족스러운 점은 간섭받지 않는 독립된 생활(73.1%), 나 자신을 위한 투자/지출 가능(31.1%), 효율적인 시간 활용(30.3%) 순이었다. 

하지만 1인 가구의 30.1%는 1인 가구가 살아가기 적합하지 않은 사회이고, 1인 가구의 35.9%는 “1인가구는 여러 문제가 있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부족한 사람(외톨이, 비혼주의자, 경제적 무능력자, 개인주의자/이기주의자, 손쉬운 대상 등)”이라는 사회적 편견이 있다고 생각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