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심혈관질환 위험 요인들이 없어도 장애가 있는 경우 심혈관질환 사망률 및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김영식·손기영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 검진 코호트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2002년부터 2015년까지 14년간 조사된 40세에서 79세 총 51만여 명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심혈관질환 발생률과 사망률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경증장애인은 비장애인이에 비해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높았다. 특히 중증장애인에 비해 경증장애인이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더 높았는데, 경증장애인은 평균 3.2배, 중증장애인은 평균 1.7배 높았다. 

사망률은 연령대에 따라서도 차이가 났다. 특히 50대 이하 장애인의 심혈관질환 사망률이 높았는데, 장애 정도에 따라 2.5~6.3배 차이가 났다. 이어 50세~64세는 2.6~3.5배, 65세 이상은 1.5~2.7배였다.

장애 유형에 따라서도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차이를 보였다. 신체장애가 있을 경우 1.7배, 시청각장애가 있을 경우 1.3배, 정신신경장애는 4.0배 사망률이 증가했다.

심혈관질환 발생률도 사망률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높았으며, 특히 50세 이하에서 발병률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경증장애인은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1.4배, 중증장애인은 1.5배 높았고, 50세 이하 장애인에서는 발생률이 5.5배, 50~64세는 장애 정도에 따라 3.3~4.6배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식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장애인에서 심혈관질환 사망률과 발생률이 높은 것은 장애인에 대한 의료접근성이 낮은 것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며, 코로나19 상황에서 장애인의 병원접근성이 더 어려워져 방문진료 등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손기영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장애인 건강주치의는 장애인의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중장년층 때부터 포괄적으로 위험요인을 적극 관리 해야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논문을 미국 온라인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