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층통증 진료환자 5명 중 2명은 60대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흉추는 흉곽이라는 심장과 폐를 보호하는 구조물의 뒤쪽을 담당하는 곳으로 양쪽에 갈비뼈와 관절면을 이루고 있다. 

2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흉추통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흉추통증 총 진료인원은 2015년 13만 9천 명에서 2019년 15만 3천 명으로 1만 4천 명이 증가했고(10.5%), 연평균 증가율은 2.5%로 나타났다.

2019년 전체 진료인원(15만 3천 명) 중 60대가 20.9%(3만 2천 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19.5%(3만 명), 70대가 17.8%(2만 7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2019년)로는 남성이 61,925명, 여성이 91,422명으로 여성이 많았다.  

인구 10만 명당  ‘흉추통증’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환자수도 증가하여 70대 인구 10만 명당 815명으로 가장 높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박융 교수는 고령의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연령의 증가로 인한 척추 근육과 관절의 노화로 인하여 흉추통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라고 설명하였다.
     
‘흉추통증’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5년 85억 6천만 원에서 2019년 124억 7천만 원으로 5년 간 45.7%(39억 원)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9.9%로 나타났다.       

1인당 진료비는 2015년 6만  2천 원에서 2019년 8만 1천원으로 31.9% 증가했으며, 남성과 여성의 증가율이 비슷했다. 

1인당 진료비는 연령증가에 따라 증가했다. 9세 이하는 1인당 3만 6천 원으로 가장 낮았고, 80대 이상이 9만 2천 원으로 9세 이하의 2.5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융 교수는 “흉추통증은 등근육 강직과 노화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나 드물게 이차적인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가 있다"고 설명하면서, "견갑골 주위부가 뻐근하게 불편한 것에서부터 앉거나 일어서는 자세 시 심해지는 양상, 방사통 또는 가슴이나 복부의 바늘이 찌르는 것과 같은 따끔거림, 발열, 오한, 보행시 중심을 못잡거나 날로 심해지는 두통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의료기관에 방문해 이에 대한 진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