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편두통(G43)’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10년 47만 9천 명에서 2015년 50만 5천 명으로 나타나 5.3%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진료비는 2010년 396억 원에서 2015년 532억 원으로 34.4% 증가 하였다.

‘편두통’으로 인한 진료인원은 여성이 남성보다 진료환자 수가 약 2.5배 많았으며, 5년간의 성별 진료인원은 남성은 2010년 13만 2천 명에서 2015년 14만 4천명으로 9.2%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0년 34만 7천 명에서 2015년 36만 1천명으로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남성보다 여성 환자가 가장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 (estrogen),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이 편두통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가임기 여성에서 더욱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고, 일부 여성은 월경 때 편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하였다.

2015년 기준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정한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에서는 70대(1,542명)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80세 이상(1,382명), 50대 (1,266명)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50대(1,952명)가 가장 많았고, 70대(1,905명), 40대(1,791명)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80세 이상(1,182명)이 가장 많았고, 70대(1,075명), 60대(738명) 순으로 나타났다.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 예방을 위해 "수면장애, 피곤, 스트레스,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폐경 등 자신의 편두통의 악화 요인에 대해 잘 알고, 피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또한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그 밖에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평소에 치료해 두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