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에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심장근육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 발생하는 질환인 허혈성 심장질환 환자가 지난 5년간 13만 8천여명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허혈성 심장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2019년 허혈설 심장질환 진료인원은 94만 2천 명으로 5년 전(2015년) 조사   80만 4천 명보다 13만 8천명(17.2%) 증가했고, 연평균 4.1% 증가율을 보였다. 

2019년 성별 진료인원은 남성의 경우, 58만 5천명으로 여성 35만 7천여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5년간 증가율도 남성은 22.9%, 여성은 8.9%로 남성이 2.6배 높았다.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2019년 기준)를 보면 전체 진료인원 94만 2천 명 중 60대가 30.8%(29만 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9.2%(27만 5천 명), 50대가 17.8%(16만 8천 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해 80대 이상 남성 인구 10만 명당 10,925명으로 가장 높았다.

최근 5년간 ‘허혈성 심장질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5년 1조 1,064억 원 에서 2019년 1조 6,511억 원으로 5년 간 49.2%(5,447억 원) 증가했고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는 2015년 137만 7천 원에서 2019년 175만 3천원으로 27.3%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장지용 교수는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등 위험인자등이 장기간 관리되지 않아 관상동맥이 협착되어 발생하는 허혈성 심장질환 진료인원은의 협착이 발생한다. 협심증(흉통), 심근경색증 또는 급사(심장돌연사)로 나타난다."고 질환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고혈압 또는 고지혈증 및 당뇨 같은 대사질환이 관리되지 않은 채로 10년 이상 누적되면 혈관 합병증으로 진행된다"고 강조하며, 또한 "허혈성 심장질환을 진료 받지 않고 방치 시 급성심근경색이 발생하거나 급사(심장돌연사)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심장기능부전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