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10명 중 4명은 밥과 김치 위주의 단조로운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단조로운 식사 패턴이 계속되면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율이 증가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1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은 영남대 식품영양학과 서정숙 교수팀이 2013∼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64세 1인 가구 남녀 368명을 대상으로 주 식사 메뉴와 대사증후군의 상관성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서 교수팀은 연구 대상자가 주로 선택하는 식사 메뉴에 따라 ‘밥ㆍ김치’ 그룹ㆍ‘혼합식’ 그룹(면ㆍ만두류ㆍ고기ㆍ닭고기ㆍ과자류ㆍ 음료류ㆍ주류),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그룹 등 세 그룹으로 나눴다.

조사결과 ‘밥ㆍ김치’ 그룹의 비율이 전체의 40.6%로 가장 높았다. 이어 ‘혼합식’ 그룹(38.8%)ㆍ‘우유ㆍ유제품과 과일’ 그룹(20.6%) 순이었다.

식사 메뉴는 1인 가구의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1인 가구 남성은 ‘밥ㆍ김치’ 중심으로 식사한다는 비율이 60.5%였고, 1인 가구 여성은 63.8%가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위주의 식사를 한다고 응답했다.

1인 가구 연령대에 따라서도 선호하는 식사 메뉴가 달랐다. ‘혼합식’ 식사는 20대 1인 가구,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위주의 식사는 신중년으로 통하는 50∼64세 1인 가구가 더 많이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유ㆍ유제품과 과일’ 위주의 식사를 하는 1인 가구 성인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은 ‘밥ㆍ김치’ 위주로 식사하는 1인 가구보다 60% 낮았다. 

한편 한국인이 전통식 위주로 식사를 할수록 대사증후군 발병률이 2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과일을 포함한 건강한 식사는 이란 여성ㆍ그리스 성인의 대사증후군 위험을 낮췄다는 연구 논문도 있다. 이란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선 우유 섭취량이 많을수록 허리둘레ㆍ혈중 중성지방 농도ㆍ혈압 등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낮아졌다.

서 교수팀은 논문에서 “1인 가구가 ‘밥ㆍ김치’와 같이 단조로운 식사를 지속하면 대사증후군 등 건강 취약계층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의한 식이 패턴별 1인 가구의 영양 상태와 대사증후군 위험도)는 한국영양학회 학술지(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최신호에 소개됐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