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십자인대 파열 진료인원이 연간 4만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중 1만 3천 명이 20대로 가장 많았다. 

26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5년 간 ‘전방 십자인대 파열’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전방 십자인대 파열」이란 슬관절에 부착된 전방 십자인대가 끊어진 상태를 말한다. 파열된 지 장시간 경과되면 반복되는 관절의 비정상적 전방 전위에 의해 관절 사이의 반월상연골이 파열되고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된다. 

최근 5년간 전방 십자인대 파열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5년 3만 8천 명에서 2019년 4만 1천 명으로 6.3%(2,407명)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2015년 3만 명에서 2019년 3만 1천 명으로 4.8%(1,435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8천 명에서 2019년 9천 명으로 11.6%(972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2019년을 연령대별 전체 진료인원 4만 1천 명 중 20대가 1만 3천 명(31.5%)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8천명(20.6%), 40대가 7천 명(16.5%)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진료인원 비중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남성의 경우 20대 35.4%, 30대 22.9%, 40대 15.2%의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의 경우는 40대 20.8%, 50대 20.3%, 20대 18.7% 순으로 나타났다.

60대까지는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반면, 70대 이상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1인당 진료비는 2015년 150만 7천 원에서 2019년 208만 8천원으로 38.6% 증가했다. 1인당 진료비는 10대가 234만 8천 원으로 가장 많았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퍽’ 또는 ‘뚝’ 하는 파열음과 함께 무릎 관절 안에 피가 고여 손상 부위가 붓고 통증이 발생한다. 부상 직후에는 무릎을 잘 구부릴 수가 없고 발을 딛기가 힘들다. 

며칠이 지나면 부기가 가라앉고 통증이 줄어들기 때문에 타박상으로 오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많으나 전방 십자인대 파열을 방치하면 활동 시 무릎 관절이 자주 어긋나는 느낌을 받고, 통증이 심해진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박상훈 교수는 “무릎 손상 예방을 위해 운동 전에는 스트레칭으로 경직된 관절관 근육을 충분히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운동할 때는 무리한 점프와 방향전환을 자제하고,  운동 후에는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하며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평소에 허벅지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