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코로나19 속에서 우리 기업들이 거둔 성적표는 기업규모별, 업종별로 양극화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경제연구원은 코스피 및 코스닥 비금융 상장 기업 1,017개사의 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상장사 영업이익이 24.9% 증가했음에도 상장사 4개 중 1개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기업규모별로 상·하위 20% 기업 간 매출액과 영업이익 격차가 확대된 가운데, 업종별로도 의료·제약, 전기·전자 등 코로나 수혜업종과 유통 및 대면서비스 등 피해업종의 명암이 극명하게 엇갈렸다. 영업이익이 증가한 업종 내에서도 상위 3개 기업이 업종 전체 영업이익 증가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 상장기업 매출액은 1,076조 1000억으로 2019년 1,093조원 보다 16조 9000억원(△1.5%)이 감소했다. 

반면 영업이익은 7조 3천억원으로 2019년 53조 9천억원 보다 24.9% 증가했다. 이는 2019년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한데 따른 기저효과와 코로나 반사이익을 누렸던 반도체, 가전 등 주력산업의 이익률 개선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러한 영업이익 증가는 코로나 수혜업종과 일부 기업에 집중되면서 기업 간 K자형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상장사 매출액 5분위 배율은 2019년 266.6배에서 2020년 304.9배로 확대됐다. 매출액 상·하위 20% 기업 간 평균 영업이익 차이도 2019년 2,386억원에서 2020년 3,060.2억원으로 674.2억원(28.3%) 늘어났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는 기업의 수는 2019년 249개에서 2020년 255개로 6개 늘어났다. 이는 상장기업의 25.1%에 해당한다. 

K자형 양극화는 업종별로도 뚜렷했다. 코로나 진단키트 등에 대한 수요 증가로 지난해 의료·제약업종은 영업이익이 2019년 대비 125.7% 급증했다.▶전기·전자(64.0%), ▶음식료(27.4%), 소프트웨어·인터넷·방송서비스(18.6%) 등 비대면화 수혜 업종의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다.

반면, ▶유통 및 대면서비스(△26.4%), ▶사업서비스(△39.1%) 등 서비스 업종과 ▶기계(△72.8%), ▶운송장비(△38.7%), ▶철강·금속(△37.8%), ▶화학(△27.1%) 등 전통 제조업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2019년에 비해 줄어 들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