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게임장애(IGD)와 ADHD로 불리는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가 동반될 경우, 인터넷게임장애가 잘 회복되지 않을 뿐 아니라 회복되더라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HD는 소아-청소년-성인기까지 이어지는 정신과적 문제로 아동·청소년 5~10%, 성인 2~5%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 

최근 서울대병원 김붕년·이정 교수와 중앙대병원 한덕현 교수는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ADHD 공존 여부가 인터넷게임장애의 장기적인 경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세계 최초로 규명한 연구 결과를 밝혔다. 

2013~2015년까지 인터넷게임장애만 진단받은 환자 128명(pure-IGD군)과 인터넷게임장애 및 ADHD 공존(ADHD-IGD군) 질환을 진단받은 1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3년간 추적 관찰했다. 사회적 불안, 가정환경 등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뤄졌다.

그 결과, 3년 후 인터넷게임장애의 회복률은 ADHD-IGD군은 60%에 머문 반면, pure-IGD군은 93%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ADHD-IGD군은 회복률이 낮고, 1년 이내에 재발 가능성이 높았다. 시간 경과에 따라 인터넷게임장애 증상의 심각도가 더 높았다. 또한 ADHD 증상의 감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터넷게임장애 증상의 감소와 유의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가정환경이 인터넷게임장애 증상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예후 개선을 위해서는 가정환경 개선을 위한 가족치료가 포함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김붕년 교수는 “연구 결과, ADHD가 인터넷게임장애의 회복과 재발에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됐다”며 “인터넷게임장애 환자들이 왔을 때 ADHD와 같은 공존질환이 있는지 확인 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인터넷게임장애 환자의 치료와 회복을 위해서는 공존 ADHD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와 치료가 가장 중요함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아동·사춘기 정신건강학회 학술지 '아동 심리학·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