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데이터솜)

대사증후군의 5대 진단 기준을 셋 이상 보유하고 비만한 남성은 대사적으로 건강하고 정상 체중인 남성보다 당뇨병 위험이 2.7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7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은 원광보건대 간호학과 김지영 교수가 질병관리청의 2001∼2016년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에 참여한 40∼64세 남녀 중 당뇨병이 없는 6,405명을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연구 대상자를 ①대사적으로 건강한(5가지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중 3가지 미만 보유) 정상체중(체질량지수 18.5 이상∼23 미만) 그룹, ②대사적으로 건강한 과체중(체질량지수 23 이상∼25 미만) 그룹 ③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체질량지수 25 이상) 그룹 ④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5가지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중 3가지 이상 보유) 정상체중 그룹 ⑤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과체중 그룹 ⑥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비만 그룹 등 6그룹으로 나눴다.

연구 결과 남성은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는 과체중' 그룹이'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 체중' 그룹 대비 당뇨병 발생 위험이 2.7배 높았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그룹과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정상체중' 그룹,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과체중' 그룹은 '대사적으로 건강한 정상체중' 그룹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1.4배ㆍ1.9배ㆍ2.5배 높았다.

여성 역시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그룹,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정상체중' 그룹,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과체중' 그룹,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비만' 그룹의 당뇨병 위험이 각각 1.7배ㆍ1.9배ㆍ2.1배ㆍ3.1배 높았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남녀 모두에서 대사적으로 건강한 그룹보다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그룹의 당뇨병 발생 위험이 컸고,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 지수(BMI)도 증가할수록 당뇨병 발생 위험이 커졌다”며 “여성이 남성보다 당뇨병에 더 취약했다”고 지적했다.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그룹의 비율이 남성은 21.1%인데 비해 여성은 30.4%로 거의 1.5배에 달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당뇨병은 하나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대사 건강 상태와 체질량지수의 조합 등 복합적으로 발생한다”며 “대사적 건강 상태 개선과 체중 관리 등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한국 성인의 신체 표현형에 따른 당뇨병 발생 위험 평가 : 전향적 코호트 연구)는 대한보건협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대한보건연구’ 최근호에 실렸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