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데이터솜)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아이가 보이는 작은 반응에도 가슴이 내려 앉곤 한다. 특히 이름을 불러도 반응이 없고 잘 웃지 않으며 특정 행동을 반복, 집착하는 경향이 있을 때 자폐스펙트럼은 아닐까 염려하게 된다.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지속적인 결함을 보이면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흥미, 활동을 보이는 발달 장애를 말한다.

최근에는 유병률이 많이 늘어 대략 50명 중 2명이 ‘자폐스펙트럼장애’일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 변화를 극도로 싫어하고 시각·청각·촉각과 같은 감각 정보에 대해 과잉·과소 반응을 하는 행동 특징은 모든 사람에게 조금씩 나타날 수 있으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심하고 사회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결함이 함께 나타날 때 ‘자폐스펙트럼장애’로 진단한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지원 교수는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언어 발달 지연과 지적장애, ADHD 등 다른 발달 장애와 같이 나타나거나 증상이 겹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진단이 쉽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최근 언어 발달 지연이나 지적장애를 동반하지 않는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증가하고 있는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는 늦게 발견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언어나 지능이 늦지 않더라도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고 제한적이며 반복적인 행동 특성을 보인다면 평가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며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시 부모와 아이가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만 2~3세 이전 과도한 영상매체 노출은 타인과의 상호작용 욕구와 기회가 줄어들게 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언어 발달을 비롯한 적절한 의사소통 방식을 발달시켜 부적응적 행동을 최소화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고 독립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약물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