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데이터솜)

지난 해 2030세대 내 자산격차가 전년도 보다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은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5651만원이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3억1849만원)대비 약 3800만원이 증가한 수치다.

20~30세대 전체 평균 자산은 늘었지만 자산 격차는 심화됐다. 지난해 기준 20~30대 내 자산 하위 20%인 1분위의 평균 자산은 2784만원으로 전년대비 311만원(12.6%) 증가했다. 반면 자산 상위 20%인 5분위의 평균 자산은 9억8185만원으로 전년대비 1억1141만원(12.8%)이나 급등했다.

이에 따라 자산 하위 20% 대비 상위 20%의 자산격차를 보여주는 지표인 자산 5분위 배율은 2020년 35.20배에서 지난해 35.27배로 0.07배p 악화됐다. 2019년 대비(33.21배)로는 자산 5분위 배율이 2.06배p나 심화됐다.

20~30세대 내 소득격차도 큰 폭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20~30세대 내 경상소득 하위 20%의 경상소득은 1968만원으로 전년대비 131만원(7.2%) 증가했다. 상위 20%의 경상소득은 1억2832만원으로 전년대비 742만원(6.1%)이 뛰어올랐다.

경상소득 5분위 배율은 2020년 6.52배로 2019년 6.58배보다 소폭 개선되긴 했지만 여전히 상위 20%가 하위 20% 대비 6배나 많은 소득을 얻고 있었다.

이러한 청년층 자산격차의 주된 원인에 대해서는 소득격차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0~30대 가구의 자산 분위별 소득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 자산을 가진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은 1억592만원, 하위 20%의 평균 경상소득은 3087만원이었다.

자산 상위 20%와 하위 20%의 소득격차는 3.43배로 자산 5분위배율(35.27배) 대비 크게 낮았다. 소득격차만으로는 35배에 달하는 자산격차를 설명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김회재 의원은 “삶의 출발선에서부터 극복하기 어려운 격차를 안고 시작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하다”면서 “‘부모찬스’가 없는 청년들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공정의 사다리가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