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흡충증 환자의 일부는 객혈, 흉통으로 결핵, 폐암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흡충증(Paragonimiasis, 폐디스토마)은 폐흡충이라는 기생충이 폐에 기생해 생기는 병으로 민물 참게 등 갑각류를 먹고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19일 [데이터솜]이 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신종욱 교수와 성균관의대 공윤 교수 연구팀이 1982년부터 2003년까지 22년간 국내 병원에서 ’폐흡충증‘으로 진단된 685명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신종욱 교수 연구팀의 22년 동안 685건에 이르는 폐흡충증 진단 사례를 분석한 연구 논문(Spectrum of pleuropulmonary paragonimiasis: An analysis of 685cases diagnosed over 22 years)에 따르면 폐흡충증을 진단하는 효소결합항원항체반응검사에서 97.1%(665명)가 양성 반응이 나타났으며 44.4%(304명)가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세포 중 하나인 호산구 수치가 중가하는 호산구증가증(Eosinophilia)을 보였다.

또한 폐흡충증 환자의 일부에서 가래(55.5%), 객혈(40.9%), 기침(39.6%), 흉통(34.3%), 피로감(11.4%), 악취(8.0%), 발열(5.5%) 등의 증상을 호소했으며 이들 환자 중 55.2%는 민물 게장을 먹었다고 답변했다.

한편 25주 이상 폐흡충증 진단이 지연된 경우는 결핵, 폐암 또는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으로 오진한 이유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신종욱 교수는 “폐흡충증은 아직도 전 세계적으로는 흔한 감염병으로 기침, 객혈, 흉통,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결핵 또는 다른 폐질환과 유사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료가 제 때 시행되지 않으면 폐렴, 폐농양, 기흉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유사 증상이 있고 민물 게 등 갑각류 등의 음식을 먹었다면 항체반응검사(ELISA)와 같은 면역검사를 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신종욱 교수팀의 이번 연구 논문은 22년 장기간 동안 대규모 진단 사례를 분석한 폐흡충증 임상 연구의 완결판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면역학 분야 상위 최상위 SCI급 저널인 국제감염학저널(Journal of Infection, IF 38.671)에 게재됐다.

[데이터솜=임성희 기자]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