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가와 전셋값의 차이가 크지 않아 계약 종료 시 보증금 미반환 사고 발생 가능성이 있는 이른바 '깡통전세'의 위험은 신축 아파트보다 구축 아파트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8일 [데이터솜]이 부동산R114에서 수도권 아파트 총 337만 684가구의 매매 및 전세가격(8월말 기준)을 확인해 분석한 결과를 살펴봤다.

수도권에서 전셋값이 매매가의 80%를 초과하는 아파트는 12만 6278가구로 전체의 3.7%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보통 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이 80%를 넘으면 깡통전세 위험이 있다고 본다)

지역별로는 △인천 6.1%, △경기 5.5%, △서울 0.2% 순이다. 상대적으로 매매가격 하락폭이 크고 전세가율이 높은 지역에서 깡통 위험이 있는 아파트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깡통전세 위험은 대체로 신축보다는 구축 아파트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전세가율이 80%를 초과한 아파트 12만 6278가구를 연식 구간별로 살펴보면 입주한지 21-30년 이하 아파트가 7만 5203가구(59.6%)로 과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11-20년 이하 3만 4428가구(27.3%) △6-10년 이하 9663가구(7.7%) 순으로 높았다.

반면 매매가격 수준이 높은 입주 5년 이하 신축은 1091가구(0.9%)였으며 연식이 오래된 단지일수록 전세가율 80%를 초과한 아파트 비중이 높았는데 30년 초과 아파트는 구축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가율 80% 초과한 가구가 5893가구(4.7%)로 적었다. 30년 초과 아파트에는 매매와 전세간 가격 차가 큰 재건축 단지가 상당수 포함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시세 조사된 30년 초과 아파트 총 59만 8007가구 중 재건축이 진행중인 아파트 20만 145가구(33.5%)는 모두 전세가율이 80% 이하였다.

[데이터솜=장진숙 기자]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