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어떻게 먹느냐 중요해, 개선 노력해야”

[자료: 농촌진흥청, 한국교원대학교]
[자료: 농촌진흥청, 한국교원대학교]

끼니를 거르는 남성은 대사증후군 위험률이 증가한 반면 끼니를 거르는 여성은 대사증후군 위험률이 오히려 떨어졌다.

17일 [데이터솜]이 농촌진흥청과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해 분석한 ‘식행동(식사방식)과 만성질환 간의 관계’ 자료를 살펴봤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보건복지부가 19세 이상 성인 2만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바 있다.

분석 결과 하루 세 끼를 먹는 남성보다 두 끼를 먹는 남성에서 대사증후군 위험이 1.16배를 높게 나타났다. 특히 대사증후군 주요 인자 중 하나인 복부비만은 1.21배, 이상지질혈증 위험은 1.16배였다.

두 끼를 먹는 경우 점심 또는 저녁을 굶었을 때보다 아침을 굶었을 때 남성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1.22배였고 복부비만(1.28배)과 이상지질혈증(1.20배) 위험률도 높았다.

여성도 아침을 굶었을 때 고혈당 장애(1.18배), 이상지질혈증(1.19배), 저HDL콜레스테롤혈증(1.14배) 위험이 증가했다. 그러나 저녁을 굶으면 고혈당 장애 위험이 0.74배로 줄었다.

야간 공복 시간을 분석한 결과 야간 공복 시간이 가장 긴 집단이 가장 짧은 집단보다 당뇨 위험이 남녀 평균 0.76배로 나타났다. 마지막 식사 시간이 오후 9시 이후일 때 당뇨 위험은 1.19배 수준이었다.

끼니별 에너지 섭취 비율의 경우, 저녁 식사(18~21시)가 40% 이상일 때 당뇨 위험이 1.36배로 높아졌다. 야간 식사(21시 이후)의 에너지 섭취 비율은 25% 이상이면 여성에서만 당뇨 위험이 1.61배로 높게 나타났다.

농촌진흥청 식생활영양과 유선미 과장은 “무엇을 얼마나 먹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먹느냐도 우리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식행동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며 “앞으로도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한국인의 식사 유형을 반영한 건강 식이 요인을 발굴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