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온열질환자 1564명...13.7% 증가
지난해 온열질환자 1564명...13.7% 증가
  • 장윤희 기자
  • 승인 2023.05.23 06: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질병관리청, 9월 30일까지 응급실감시체계 가동
[자료: 질병관리청]
[자료: 질병관리청]

지난해 열로 인해 발생하는 온열질환환자가 전년보다 13.7% 증가했다. 2018년에는 4526명으로 특히 많았다.

23일 [데이터솜]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및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 수를 확인하기 위해 질병관리청의 ‘2022년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 현황’ 자료를 살펴본 결과 1564명으로 전년도 1376명보다 13.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연도별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자 및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2011년 443명(6명) ▶2012년 984명(15명) ▶2013년 1189명(14명) ▶2014년 556명(1명) ▶2015년 1056명(11명) ▶2016년 2125명(17명) ▶2017년 1574명(11명) ▶2018년 4526명(48명) ▶2019년 1841명(11명) ▶2020년 1078명(9명) ▶2021년 1376명(20명) ▶2022년 1564명(9명) 등이었다.

지난해 온열질환자 1564명 중 남자는 1256명, 여자는 308명이었으며 연령별로는 ▶0~9세 3명 ▶10대 42명 ▶20대 168명 ▶30대 176명 ▶40대 246명 ▶50대 344명 ▶60대 281명 ▶70대 163명 ▶80대 이상 141명이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자 수는 422명으로 전체의 27%를 차지했다.

질환별로 살펴보면 ▶열사병 315명 ▶열탈진 809명 ▶열경련 278명 ▶열실신 119명 ▶기타 43명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경기가 353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남 152명 ▶경북 142명 ▶전남 124명 ▶서울 110명 등이었으며 발생장소별로는 실외 작업장이 581명으로 가장 많았고 ▶논/밭 230명 ▶길가 161명 ▶실내 작업장 127명 ▶운동장(공원) 95명 순이었다.

발생시간대는 10~12시가 258명으로 1위였다. 그 뒤로는 ▶15~16시 179명 ▶12~13시 170명 ▶14~15시 165명 ▶16~17시 153명 등으로 집계됐으며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종사자가 395명으로 가장 많았고 ▶미상 287명 ▶무직(노숙인제외) 175명 ▶농림어업숙련종사자 153명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86명 순이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올여름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7~8월에는 무더운 날이 많을 것이라는 기상청의 기후 전망에 따라 갑작스러운 더위로 인한 온열질환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의료기관 및 관할 지자체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폭염 건강피해를 감시하고 발생 현황정보를 신속하게 공개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은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건강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9월 30일까지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