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 가능성 낮은 D등급 118개로 집계

지난해 185개였던 부실 징후 기업이 올해 들어 231개로 25% 급증했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모두 231개 기업을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년 대비 46개사가 늘어났으며 특히 D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낮음)이 12개사가 늘어난 118개사로 집계됐다.

부실징후 C 등급(정상화 가능성 높음) 기업은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했으며 코로나19시기 줄었던 D등급 기업은 2021년이후 늘고 있다. (자료=금융감독원)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이 9개사로 이 가운데 C등급(경영정상화 가능성 높음)이 7개, D등급이 2개였다.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원 미만)은 C등급이 111개로 전년 대비 29개 늘었고 D등급도 111개로 전년 대비 10개 늘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22개)에 속한 기업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 등이 뒤를 이었다.

금감원은 "대내외 경기 부진 및 원가 상승 등으로 기업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올해 들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 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이 증가함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천500억원으로 이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 폭도 미미(0.02%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금감원은 추정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자구 계획 전제 아래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하고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