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만 50세 이상 국민은 개인 104만, 부부 174만원이 있어야 최소한의 생활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이에 비해 노후 생활비를 준비하고 있다는 국민은 33.5%에 그쳤다.

국민연금공단 산하 국민연금연구원은 지난 달 31일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2005년부터 격년으로 시행되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2015년 6차년도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됐다. 4816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에 따르면, 노후에 필요한 월 최소 생활비는 개인 기준 104만원, 부부 기준 174만1000원이라고 응답했다. 표준적인 생활에 필요한 적정 노후 생활비는 부부 기준 236만9000원, 개인 기준 145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노후에 아직 진입하지 않았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의 33.5%만이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 중 55.7%가 국민연금으로 노후를 준비한다고 응답했는데 국민연금 가입 기간 20년 이상의 수급자 경우 평균 88만원의 급여액을 받게 된다. 최소 노후 생활비에도 못 미치는 금액이다. 그러나 60세 미만 조사대상자 중 공적연금 가입률은 55.5%에 불과했으며, 조사 시점 전체 응답자의 49.1%는 독립적인 경제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해 여전히 불안전한 노후준비의 민낯이 드러난 상황이다.

응답자들이 인식하는 주관적인 노후 시작 연령은 67세였다. 53.7%가 기력이 떨어지는 시기를 노후의 시작으로 지목했다. 정부의 노인 연령 기준 65세보다 2세 많다. 이들은 노후대책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해야 할 주체로 57.2%가 본인을 꼽았다. 이어 배우자, 정부 순이었다.

한편, 은퇴자의 56%는 비자발적 은퇴를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 이유는 고령과 질병 등 건강 악화가 36.1%로 가장 많았다. 이들 절반은 은퇴 후 나빠진 점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꼽았다. 고령자 과반수는 만성질환을 앓고 있다. 특히 60대 이후 만성질환이 급격히 증가해 의료비 지출 부담이 많이 늘어났다. 70대 이후 우울 비율은 50대의 2배 이상이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