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기심근증은 출산 전후 산모의 좌심실 확장으로 수축기능이 약화되면서 심부전을 일으키는 임신합병증으로 드물지만 사망률과 재입원률이 높아 치명적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유규형·한성우·최석원·윤종찬·이선기 교수 연구팀과 고려의대 김응주 교수팀은 공동 연구로 국내 주산기심근증 환자들을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 빅데이터를 토대로 2009년부터 2013년 사이에 출산한 산모를 추출했다.

해당 기간 동안 총 140만건의 출산 중 795명의 주산기심근증 환자가 발생하여, 주산기심근증의 발생빈도는 1741분만 당 1명 꼴로 분석됐다.

주산기심근증의 위험인자 분석에서는 만35세 이상의 고령임신,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성 질환인 전자간증(임신중독증), 임신성당뇨병이 있는 경우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출산이거나 다태 임신인 경우에도 주산기심근증 위험도가 증가했다.

이외에도 주산기심근증 환자의 경우 제왕절개술을 한 경우가 더 많았고, 출산 관련 합병증인 태반 조기박리, 자궁동맥색전술, 자궁적출술도 더 빈번하게 발생했다.

또 기존에는 두 차례 이상 임신한 경우 주산기심근증의 발생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오히려 초산인 경우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산기심근증과 관련된 위험인자(고령임신, 전자간증, 임신성당뇨병, 초산, 다태 임신, 제왕절개 및 출산합병증)가 추가될수록 주산기심근증 발생위험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인자가 하나도 없는 산모에 비해 6개 이상의 위험인자를 가진 산모의 주산기심근증 발생 위험도는 200배나 높았다.



또한 주산기심근증 환자의 병원 내 사망률은 1%로 나타났으며, 이는 정상산모의 원내 사망률인 0.01%에 비해 100배나 높은 수치다. 이에 따라 주산기심근증의 예방 및 관리가 치료 못지않게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