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 물량이 2005년 대비 5배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종부세가 첫 도입된 시기인 2005년(노무현 정부), 당시 서울에서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는 전체 118만7,792가구 중 6만6,841가구인 5.63% 수준으로 집계됐다.

반면 2018년 6월 현재는 서울 전체 159만9,732가구 중 32만460가구(20.03%)가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로 확인된다. 2005년 대비 물량이 5배 가량 늘어났으며, 서울 아파트 10가구 중 2가구는 6억원을 초과하는 고가아파트로 해석할 수 있다.



일부 지역에 국한됐던 고가아파트 범위도 크게 확대됐다. 2005년에는 서울 강남, 서초, 송파, 용산구 등 4개 지역만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초과했다. 하지만 현재는 서울 13개구의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초과할 뿐만 아니라 서울 전체의 호당 평균가격이 7.7억원으로 확인된다. 게다가 현재는 경기도 과천(10.6억)과 성남(6.9억)도 호당 평균가격이 6억원을 넘어섰다.

정부의 주택에 대한 보유세 개편 방향은 크게 3가지다. 공정시장가액비율은 연 5%p씩 90%까지 인상, 과표 6억원초과 세율은 0.1~0.5%p 인상, 3주택 이상자는 0.3%p 추가과세 등이다. 게다가 국토교통부가 최근 공시가격의 시세반영 비율을 최대 90%까지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어 고가주택 보유자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대비 고가아파트 물량이 5배 가량 늘어났고 지역 범위까지 크게 확대된 상황인 만큼, 종부세 개편 효과는 ‘똘똘한 한 채’로 시장 트렌드가 심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