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피부과 이준영·한주희 교수팀이 2009년 7월부터 2015년 3월 서울성모병원 등 가톨릭의대 부속병원에서 피부반응검사로 확인 된 염색약 알러지 환자 105명을 분석했다.



가장 흔하게 관찰되는 병변은 홍반성 반점과 반(편평한 병변)이었으며, 구진/판(피부가 솟아 오른), 각질 또는 진물이 함께 관찰되었다. 가장 흔하게 증상이 발생한 부위는 얼굴 부위로 환자 중 57.1%에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발생한 부위는 두피, 목, 몸통(배와 등), 손 등 이었다.

염색약 사용시간(연간 염색횟수 x 해)이 많을수록 염색약 알러지 발생 범위가 넓어지는 경향을 보여, 알러지가 전신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을 확인했다.

환자의 대부분인 80%가 염색약 알러지가 있음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피부반응검사를 통해 염색약 알레르기 진단이 확정 된 후에도 환자의 28.6 %만이 염색약 사용을 중단했다.

PPD는 염색약의 성분 중 접촉피부염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다. 검은색을 내기 위해 염색약에 첨가하지만, 농도가 높을수록 피부에 강한 자극을 줄 수 있으며 알레르기가 발생된 가능성도 높아진다.

염색약 알레르기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사전 테스트를 통해 안정성을 점검하는 것이 좋다. 면봉에 염색약을 발라 팔 안쪽이나 귀 뒤쪽에 묻힌 다음 48시간 안에 간지럽거나 붓는 등 이상이 없을 시 염색을 하는 것이 좋다.

피부과 이준영 교수는 “염색약 알러지가 나타나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스테로이드 제제 연고가 피부 가려움증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염색약 사용 후 이상반응 시 민간요법으로 대처하지 말고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