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이후 20년간 우리나라 중산층의 비중이 줄고, 삶의 질도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현대보험연구원 김동열 수석연구위원은 이러한 내용을 담은 ‘한국 중산층의 구조적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 1인당 GDP는 3배 이상 늘었으나 중위소득의 50~150%에 해당하는 중산층의 비중은 7.9%p 줄고, 가계수지가 악화되는 등 삶의 질이 나빠졌다.



대표 중산층은 1990년 ‘제조업·30대 후반·고졸·남성 외벌이’ 가구에서 2010년 ‘서비스업·40대 후반·대졸·남녀 맞벌이’ 가구로 변화했다. 여성 맞벌이 가구주의 비율 증가는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에 따른 현상이기도 하지만, 남성 외벌이로는 중산층의 가계수지를 맞추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 중산층 적자가구 비중은 1990년 15.8%에서 2010년 23.3%로 높아졌으며, 가계수지 흑자액의 처분가능소득 대비 비중(흑자율)은 같은 기간 22.0%에서 17.9%로 낮아졌다.

경직성 지출도 크게 늘었다.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상환액 비중이 1990년 10.4%에서 2010년 27.5%로 3배 가까이 증가한 데 이어, 국민연금·건강보험 등 준조세 비중이 1.7%에서 5.8%로 3배 이상 늘었다. 사교육비와 통신비도 모두 3배 이상 증가했다.

소비 여력이 줄어든 중산층은 오락·문화·여행·외식 등 선택적 지출을 줄였다. 이에 오락문화비 비중이 2000년 4.7%에서 2010년 4.1%로 감소했다.

김 연구위원은 위축된 중산층의 소비 여력을 확대하기 위해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 부담을 장기에 걸쳐 분산하고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전환”함과 동시에 “각종 사회보험료의 추가 인상에 신중하고 사교육비와 통신비 부담 완화에 힘써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번 연구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했고, 20년간의 시계열 분석을 위해 2인 이상 도시가구를 기준으로 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