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대한골대사학회와의 공동연구로, 2008년부터 2016년까지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이용해 50세 이상 한국인의 골다공증 발생 및 분석 현황을 발표했다. 

발표된 내용에 따르면 인구 1만 명당 골다공증 골절 발생률(50세 이상)은 2008년 148.0건에서 2011년 180.4건으로 증가한 이후 정체 양상을 보이다 2016년 152.9건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골절 부위별로 살펴보면 척추(88.4명), 손목(40.5명), 고관절(17.3명), 상완(7.2명) 순이었으나, 연령대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50대에는 손목 골절이 주로 발생하였으며 고연령으로 갈수록 고관절 및 척추 골절의 발생률이 증가했다. 

50세 이상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척추 골절은 인구 1만 명당 2008년 82.5건에서 2011년 99.4건으로 증가한 이후 다소 감소하여 2016년에는 88.4건으로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의 척추 골절 발생이 남성에 비해 2.9~3.2배 많이 발생하였다. 

또 50세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는 고관절 골절 발생은 50세 이상 인구 1만 명당 2008년 18.2건에서 2012년 20.5건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감소추세로 이어져 2016년에는 17.3건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의 고관절 발생이 매해 남성에 비해 2.1~2.3배 정도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추 골절 및 고관절 골절은 모두 고령으로 갈수록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2012년 최초 발생한 고관절 골절 경험 후 1년 이내 사망률은 17.4%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21.5%로 여성 15.5%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4배 높았다. 척추 골절 후 1년 이내 사망률도 남성이 10.1%, 여성이 4.3%로 남성이 2.4배 높았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