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10년~2014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하여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강박장애(F42)'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는 2010년 20,490명에서 2014년 23,174명으로 연평균 3.1%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장애는 불안장애의 하나로서, 원하지 않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나는 강박적 사고(obsession)와 강박적 사고를 중화하기 위해 하는 '확인하기', '숫자세기', '손씻기', '대칭맞추기' 등 강박적 행동(compulsion)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질환이다.

전체 진료인원 중 남성은 13,395명으로 전체 진료환자수의 57.8%(2014년 기준)을 차지하였으며, 여성 진료환자수에 비해 약 1.4배 더 많았다. 그러나 연평균 증가율에서는 여성(3.4%)이 남성(2.9%)보다 0.5%P 높게 나타났다.

2014년을 기준으로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강박장애 환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20대 106.2명, 30대 69.9명, 10대 61.2명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20대 64.1명, 30대 53.3명, 40대 41.1명순으로 강박환자가 많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20대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장 생활 및 가정생활의 어려움 등이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강박장애의 효과적 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 행동치료이다. 강박 장애의 약물치료는 일반적으로 4~6주에 효과가 나타나고 최대 8~16주에 나타나는데, 개인에 따라 약물 반응 및 부작용 발생에 차이가 있어 인내를 가지고 약물치료에 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교수는 강박장애 예방을 위해 "강박적 성향을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강압적인 분위기보다는 편안한 분위기에서 지낼 수 있게 하고 성과보다는 과정을, 지적하기 보다는 스스로 고쳐 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