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은 만성병의 주요원인이고 수명을 단축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노인의 경우 국내비만기준인 BMI 25kg/㎡ 이상에서 사망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윤종률·조정진 교수 연구팀은 '한국 노인에서 BMI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Prognostic effect of body mass index to mortality in Korean older persons)’ 연구에서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 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 17만639명을 대상으로 5년간 추적관찰하여 BMI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22.5~24.9kg/㎡를 기준(사망위험: 1)으로 잡고 BMI에 따른 사망률을 분석했다. 이 결과 기준보다 BMI가 낮을 때 사망위험이 증가하고, 오히려 기준보다 BMI가 높을 때 사망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으로 분류되는 BMI 25~27.4kg/㎡에서 사망위험은 남성은 0.86, 여성은 0.84였으며, BMI 27.5~29.9kg/㎡에서의 사망위험도 남성은 0.79, 여성은 0.89로 모두 기준보다 낮았다. 세계보건기구의 비만기준인 BMI 30kg/㎡ 이상에서도 사망위험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을 정도로 높아지지 않았다. 

오히려 비만학회가 정상 체중으로 판단하는 BMI 22.5kg/㎡ 이하일 때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BMI 17.5~19.9kg/㎡에서는 비만으로 평가되는 BMI 25~29.9kg/㎡보다 2배 이상 사망위험이 높았고, 저체중인 BMI 16~17.4kg/㎡에서는 사망위험이 3배 이상 높았다.

특히 BMI가 증가하면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현저히 감소했다. 심혈관질환과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도 역시 BMI가 25~27.4kg/㎡가 될 때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조정진 교수는 “BMI가 낮을수록 적은 체중과 근력 부족 등 노인의 허약증상을 더 악화시켜 사망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하면서 “우리나라는 젊은층 못지않게 노인층에서도 비만의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큰 편이지만 노인은 적절한 영양상태가 중요하기 때문에 무리한 체중감량 보다는 적절한 영양섭취와 운동을 통해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