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으로 인해 과소추정의 가능성이 있으나 인공임신중절 건수가 점차 줄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2018)」 결과를 분석해 발표했다. 

이번 실태 조사는 만 15세 이상 44세 이하 여성 1만 명을 대상으로 했다. 

조사에 응답한 여성(10,000명) 중 성경험여성은 7,320명(73%), 임신경험 여성은 3,792명(38%)이었으며, 인공임신중절을 경험한 여성은 756명(성경험 여성의 10.3%, 임신경험 여성의 19.9%)으로 조사되었다.

인공임신중절 당시 연령은 17세부터 43세까지 매우 다양하였고, 평균 연령은 28.4세(±5.71)로 나타났다.

인공임신중절 당시의 혼인상태는 미혼 46.9%, 법률혼 37.9%, 사실혼·동거 13.0%, 별거·이혼·사별 2.2%로 나타났다.

인공임신중절을 하게 된 주된 이유로는 ‘학업, 직장 등 사회활동에 지장이 있을 것 같아서’, ‘경제상태상 양육이 힘들어서(고용불안정, 소득이 적어서 등)’, ‘자녀계획(자녀를 원치 않아서, 터울 조절 등)’이 각각 33.4%, 32.9%, 31.2%(복수응답)로 높게 나타났다.

인공임신중절 방법으로는 수술만 받은 여성이 90.2%(682명), 약물 사용자는 9.8%(74명)이고, 약물사용자 74명 중 53명이 약물로 인공임신중절이 되지 않아 의료기관 등에서 추가로 수술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시기는 대체로 임신초기(평균 6.4주, 12주 이하 95.3%)로 나타났으며, 평균 횟수 1.43회였다. 

2017년 인공임신중절률(만 15-44세 여성인구 1,000명당 임신중절건수)은 4.8‰, 인공임신중절건수는 약 5만 건으로 추정되며, 2005년 조사 이후 감소추세이다.

인공임신중절 감소의 원인으로는 ①피임실천율 증가(’11년 19.7% → ’18년 7.3%) , ②응급(사후)피임약 처방 건수 증가, ③ 만 15~44세 여성의 수 지속적 감소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