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처음으로 3만달러를 넘어섰다. 한국전쟁 이후 세계 최빈국으로 전락했던 우리나라가 선진국이라고 당당히 말할 수 있는 ‘30-50클럽’(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 인구 5천만명 이상의 나라)에 세계 7번째 진입한 쾌거다. 한해 평균 가구소득(4인 기준)이 1억원을 훌쩍 넘어섰다는 의미인데 그러나 실제 국민들의 체감온도는 낮다는 한계도 지적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8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 자료를 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전년(2만9745달러)보다 5.4% 늘어난 3만1349달러로 집계됐다. 2006년(2만795달러) 2만달러를 돌파한 뒤 12년 만에 3만달러를 넘어선 것이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다. 보통 한 나라의 국민 생활 수준을 보여주는 지표로 통한다. 또한 1인당 GNI 3만달러는 선진국 진입의 기준으로 인식돼 오기도 했다. 실제 OECD국가 중 인구 5천만명 이상이면서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달러 이상인 나라는 미국·독일·영국·일본·프랑스·이탈리아 등 6개국뿐이다. 

하지만 이같은 화려한 경제 성과 지표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을 나타내는 각종 사회 지표들의 그늘은 여전히 짙다.

명목 국내총생산의 지난해 증가율은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직후인 1998년(-1.1%) 이후 최저인 3%에 그쳤다. 국민총소득도 2.9% 늘었는데 역시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였다. 

'2년 연속 3%대 성장'도 달성하지 못했다. 2017년 3.1%로 3년 만에 3%대 성장에 성공했으나 지난해 다시 2%대로 내려갔다.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한국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46.5%·2016년) 역시 소득 불평등·양극화 심화에 따른 상대적 박탈감을 나타내고 있다.

신승철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1인당 GNI 3만달러 진입과 관련, “통계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선진국 수준의 경제활동이나 규모에 다다랐다고 볼 수 있다”며 “다만 이 시점에 축배를 들기보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저출산·고령화, 소득과 고용의 양극화, 과중한 가계부채 등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