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이 지갑에 넣고 다니는 현금이 3년 전보다 33%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간편 송금 서비스와 카드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갈수록 현금을 안쓰는 사회가 되고 있다. 

1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8년 경제주체별 현금 사용 행태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기준 가계의 거래용 현금(지폐) 보유액은 평균 7만8000원으로 2015년(11만6000원)보다 3만8000원(33%) 줄었다. 가계의 거래용 현금 보유액은 설문 당시 응답자가 지갑이나 주머니에 가진 현금이 얼마인지를 조사한 것이다. 

연령대별로는 20대의 현금 보유액이 5만4000원으로 가장 적었고, 30대(6만7000원), 60대 이상(6만7000원), 40대(9만1000원), 50대(10만5000원) 순으로 현금을 소지했다. 

현금이 가계의 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1%로 신용·체크카드(52.0%)에 비해 낮았다. 3년 전 조사에서는 현금(38.8%)과 신용·체크카드(37.4%) 비중이 비슷했다. 용도별 현금지출액을 보면 상품 및 서비스 구입이 61.8%이었고, 사적 이전지출·경조금 등 개인 간 거래가 37.6%를 차지했다. 현금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는 장소별 비중은 전통시장(40.2%), 슈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경조사 등 비상시를 대비해 집 장롱 속이나 사무실 서랍 등에 '예비용 현금'을 가진 가계는 조사 대상자의 23.3%로 역시 3년 전(27.0%)보다 줄었다. 예비용 현금의 가계당 평균 보유액은 54만3000원으로 69만3000원이었던 2015년 조사 때보다 22% 감소했다. 

여전히 현금을 많이 쓰는 곳은 전통시장(40.2%), 수퍼마켓(24.4%), 편의점(10.3%) 순이었다. 

현금 없는 사회가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중장기적으로 있다’(35.4%), ‘단기간 내 있다’(15.9%)고 응답, 전체의 절반을 넘어섰다. 

응답자들은 현금 없는 사회로의 이행 시 예상되는 문제점으로 ‘노인 등 일부 계층의 거래 불편‘(36.4%)과 ‘비상시 경제활동에 어려움‘(23.5%)을 들었다. 

또한 최근 1년간 현금 보유가 감소한 이유로는 "간편 송금 서비스 등으로 현금을 휴대할 필요성이 줄어서"라고 답한 사람이 38.7%로 가장 많았다. 

저작권자 © 데이터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